728x90
"국내 최초의 장거리 숲길" 동서트레일 영주 구간 연결



🌲 "국내 최초 장거리 백패킹 숲길" ‑ 동서트레일 영주 구간 완공
🧭 주요 개요
- 총 연장 849km: 충남 태안 안면도에서 경북 울진 망양정까지 이어지는 국내 최초의 초장거리 숲길입니다 sangjusori.co.kr+14v.daum.net+14economist.co.kr+14.
- 55개 구간 중 일부: 2023년∼2026년 조성 예정인 전체 숲길 중 영주 지역 3개 구간이 이번에 완공되었습니다 daejeon.mhfactory.net+13v.daum.net+13koreadaily.com+13.
📍 영주 구간 상세
- 연결 구간:
- 40‑2구간: 봉현면 두산리 산림치유원 (5.23km)
- 41‑1구간: 죽령옛길을 포함한 풍기읍 지역 (8.41km)
- 46‑2구간: 부석면 남대리 일원 (6.92km)
→ 총 20.56km 숲길이 완성되었습니다 imaeil.com+14v.daum.net+14economist.co.kr+14.
- 노선 특징: 역사·문화 자원(죽령옛길 등)이 통합되고, 국립산림치유원 내에 백패킹 쉼터가 조성되어 있습니다 kyongbuk.co.kr+8v.daum.net+8koreadaily.com+8.
🛠 추진 경과 및 향후 계획
- 사업비: 총 4억 3,800만 원 투입 완료. 향후 추가로 3억 6,500만 원 투입해 편의·안전 시설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v.daum.net+9v.daum.net+9economist.co.kr+9.
- 완공 시점: 2024년 12월 착공, 2025년 6월 전 구간 완공 nocutnews.co.kr+8v.daum.net+8koreadaily.com+8.
- 지속 강화: 2026년까지 정비 사업 진행하며, 안전 시설 확충 및 이용자 만족도 향상을 도모할 계획입니다 v.daum.net+6v.daum.net+6economist.co.kr+6.
🌳 의미와 기대 효과
- 국내 최초 백패킹 전용 숲길: 야영이 가능한 백패킹 숲길이라는 점에서 새로운 트레일 관광 모델입니다 news.nate.com+14v.daum.net+14hidomin.com+14.
- 지역 활성화 촉진: 숲길을 통해 역사·문화 체험과 지역 경제(숙박, 특산물 판매 등) 연계가 기대됩니다 foresttrip.go.kr+14v.daum.net+14economist.co.kr+14.
- 영주 중심성 강화: 한반도 횡단 네트워크의 연결 고리로 전략적 거점 역할이 중요합니다 imaeil.com+6v.daum.net+6yeongnam.com+6.
🔎 정리 요약
항목내용
총길이 | 20.56km (3개 구간) |
총사업비 | 4.38억 원 |
백패킹 쉼터 | 국립산림치유원 내 조성 |
향후 계획 | 2026년까지 3.65억 원 투입, 안전/편의시설 강화 |
주요 가치 | 국내 최초 백패킹 숲길·지역 연계형 관광 자원 |
동서트레일 영주 구간의 완공은 단순한 숲길 조성을 넘어, 역사·문화 체험의 장이자 체류형 관광 인프라의 발판이 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앞으로 주변 마을과 함께 상생 모델이 될 수 있도록 기대됩니다.
🎒 백패킹 숲길 기본 준비물
🏕 1. 숙박 장비
장비설명
텐트 | 경량 1~2인용 텐트(3계절용 또는 4계절용) |
그라운드 시트 | 텐트 바닥 보호용 |
매트 | 바닥 냉기 차단 및 쿠션 역할 |
침낭 | 계절에 맞는 적정온도(Comfort Temperature) 확인 필수 |
🍳 2. 취사 도구
장비설명
버너 | 가스 또는 알콜 버너 (경량형) |
코펠 | 냄비, 컵, 프라이팬 포함 세트 |
가스(연료) | 하루당 230g 기준 1개 추천 |
식기류 | 접이식 숟가락, 젓가락, 컵 등 |
비상식량 | 즉석밥, 라면, 에너지바, 견과류 등 |
🧭 3. 기본 장비
장비설명
배낭 | 40~60L 용량 추천 (하루 이상 시 최소 50L) |
헤드랜턴 | 야간 조명 필수, 예비 배터리 함께 |
물통 / 정수 필터 | 1~2L 물통 + 필터(산악지 정수용) |
지도 또는 GPS 앱 | 산행 지도, 또는 오프라인 GPS 앱 (가민, 트랭글 등) |
🩹 4. 의약품 및 안전용품
장비설명
구급약품 | 소독약, 밴드, 진통제, 벌 쏘임 대비 약 등 |
호루라기 | 조난 상황 대비용 |
비상담요(은박담요) | 체온 유지용 |
🧥 계절별 추가 준비물
🌞 여름
- 모기장 또는 방충제
- 얇고 땀 흡수 잘되는 옷
- 쿨타월
❄ 겨울
- 방한 침낭 + 핫팩
- 동계용 텐트 + 스토브
- 아이젠, 스패츠 등 미끄럼 방지 장비
✅ 준비 팁
- 장비 무게는 총 체중의 20% 이내로 제한하는 것이 좋습니다.
- 첫 백패킹은 1박 2일 코스로 시도해보는 것이 안전합니다.
- 모든 쓰레기 및 음식물은 반드시 다시 챙겨 나오는 것이 원칙입니다(Leave No Trace 원칙).
죽령옛길은 소백산 자락을 따라 조성된 역사와 자연이 어우러진 숲길입니다. 이 길뿐만 아니라, 죽령을 품은 여러 숲길 코스가 있어 역사성과 경관을 함께 느끼기에 좋습니다. 대표적인 코스를 소개드릴게요!
🏞 죽령옛길이 포함된 대표 숲길 코스
1. 소백산 자락길 3코스 (소백산역–죽령옛길–장림리)
- 길이: 약 11.4 km (희방사역 → 죽령마루 → 장림리) v.daum.net+10kmhcshh.tistory.com+10blog.naver.com+10
- 특징: 철길 터널 구간, 계곡, 옛 주막터, 옹달샘 등 다양한 풍광과 역사가 공존
- 소요 시간: 약 3시간 20분 소요되는 중코스
2. 죽령옛길 단독 2.4 km 구간
- 구간: 중앙선 소백산역(희방사역) → 죽령 고갯마루
- 특징: 고도차가 완만해 초심자도 쉽게 걸을 수 있으며, 낙엽송 숲과 계곡 소리가 어우러진 힐링 코스 moosoedal.kr+4imaeil.com+4imaeil.com+4
3. 소백산 정상까지 연장 코스
- 길이 및 코스: 죽령탐방지원센터 → 연화봉 천문대 → 비로봉 → 정상 → 삼가탐방센터
- 특징: 죽령을 넘어 소백산 정상(1,356m급)까지 오르는 체력·경치 모두 빼어난 코스 moosoedal.kr+5blog.naver.com+51202kwon.tistory.com+5
📌 코스 비교 요약
코스 이름거리소요 시간특징 요약
소백산 자락길 3코스 | 11.4 km | 약 3시간 20분 | 철길 터널, 계곡, 옛 주막 등 포함 |
죽령옛길 단독 | 2.4 km | 약 50분~1시간 | 완만한 고개길, 초보자에게 적합 |
소백산 정상까지 연장 코스 | 약 11~12 km | 4~6시간대 | 산 정상 경치와 체력 도전 포함 |
🧭 트레킹 팁
- 첫 방문이라면 단독 구간(2.4 km부터 시작)이 좋으며, 몸 상태와 시간 여유에 따라 연장 코스로 도전해 보세요.
- 봄~가을에 걷기 최적, 겨울철엔 눈·얼음 주의 필요합니다.
- 연장 코스 도전 시, 물과 간식, 바람막이 등 추가 준비가 필요합니다.
🧮 동서트레일 완주 소요 시간 계산
📌 기준 설정
- 일 평균 걷는 거리: 20km (중간 난이도 기준)
- 예상 소요 일수:849km20km/day≈42.5일\frac{849\text{km}}{20\text{km/day}} \approx 42.5\text{일}
- 예상 완주 기간: 약 40~50일 소요
✅ 변수에 따른 조정
상황영향소요 기간
경험 많은 장거리 트레커 | 빠른 속도, 하루 25km 이상 가능 | 약 35~40일 |
일반 성인 기준 (백패킹 포함) | 중간 속도, 휴식일 포함 | 약 45~50일 |
여유 있게 여행 겸 트레킹 | 하루 15km 내외, 관광 병행 | 60일 이상 |
🚶♀️ 실제 계획 예시 (중급자 기준)
- 주간 계획: 6일 걷고, 1일 휴식
- 총 주차 기준: 7주 내외 (약 49일)
- 경로 중간 도시들: 태안, 예산, 영주, 봉화, 울진 등에서 숙소/보급 가능
🔑 주의 사항
- 계절 선택: 봄(4
6월) 또는 가을(910월)이 가장 적합 - 보급 계획 필수: 일부 구간은 민가나 상점이 거의 없음
- 장비 체크: 경량화 + 장거리 백패킹 세팅 필요
- GPS 트랙과 지도 활용: 전체 구간은 아직 개통 중이므로 현장 정보 확인 필수
728x90
'건강한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심근경색, 소득별 사망률 차이... “무직 저소득층 최악” (0) | 2025.06.25 |
---|---|
🍜 제철 해산물-제주膳 복달임 (1) | 2025.06.24 |
🥵 ‘사람 잡는 더위’ – 왜 골든타임이 ? (0) | 2025.06.17 |
🏕️ ‘슬기로운 캠핑생활’ (1) | 2025.06.17 |
🏃♂️ ‘가민 런 코리아’ 국내 첫 개최 (0) | 2025.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