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하와이에서 드론으로 모기를 살포하는 이례적인 일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 드론으로 모기 살포, 왜 시작됐나?
1. 절멸 위기 ‘꿀먹이새’ 보호
- 하와이 고유종인 허니크리퍼(honeycreeper) 등 많은 새들이 조류 말라리아(avian malaria) 때문에 멸종 위기에 처했습니다 abcbirds.org+11zdnet.co.kr+11v.daum.net+11.
- 기온 상승으로 모기가 고지대까지 확산되며, 서늘한 고지대만이 새들의 안식처였지만 점차 그마저 위협받게 된 것이죠 cm.asiae.co.kr+2hankyung.com+2asiae.co.kr+2.
2. ‘볼바키아(Wolbachia)’ 기술 이용
- 연구진은 볼바키아 감염 불임 수컷 모기를 실험실에서 사육 후 방출합니다.
- 이 수컷과 교미한 암컷은 알이 부화하지 않아, 시간이 지나면서 개체 수가 줄게 되는 방식입니다 v.daum.net+5hankyung.com+5v.daum.net+5.
3. 드론이 필요한 이유
- 2023년 말부터 헬리콥터를 이용해 마우이·카우아이 숲 지역에 모기를 뿌렸지만, 드론이 더 안전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도입되기 시작했습니다 v.daum.net+5zdnet.co.kr+5v.daum.net+5.
- 드론은 사람 탑승 없이 운용할 수 있고, 강수·풍속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면서 원격지까지 접근이 가능해 실용성이 큽니다 .
🛰️ 현재 상황은?
- 2023년 11월부터 지금까지 4천만 마리 이상이 마우이·카우아이 숲 일대에 방출된 상태입니다 zdnet.co.kr+5hankyung.com+5v.daum.net+5.
- 헬리콥터에서 드론으로 전환하며 방출 효과와 접근성 확대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
🔍 남은 과제와 기대
- 실제 효과는 아직 데이터가 부족해 확실히 입증되지는 않았습니다 v.daum.net.
- 하지만 비슷한 전략이 **인간 대상 질병(뎅기열 등)**에서는 이미 효과를 보여 왔다는 점에서 기대가 높습니다 cm.asiae.co.kr+5vox.com+5zdnet.co.kr+5.
- 목표는 하와이 숲의 동부(키위키우, 아케케에 등)의 꿀먹이새 보전이며, 모기 통제는 이를 위한 장기·지속 전략입니다 zdnet.co.kr+5hankyung.com+5v.daum.net+5.
✅ 종합 정리
항목핵심 내용
목적 | 고유종 꿀먹이새 등 조류 말라리아 위협 종식 |
방법 | 불임 수컷 모기(볼바키아 감염) 방출 → 모기 개체수 억제 |
도구 | 드론 (대형 헬리콥터보다 안전·유연) |
방출 규모 | 약 4천만 마리 (2023년 말~현재) |
현재 단계 | 효과 확인 중, 장기 관찰 필요 |
이처럼 ‘모기로 모기를 없애는’ 생태학적 접근은 SF처럼 보이지만, 기후 변화와 생물다양성 붕괴 위기에 직면한 하와이 고유종 보호를 위한 새로운 해법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 인간 대상 성공 사례 요약
지역주요 질병적용 방법성과
호주 케언즈 | 뎅기열 | 볼바키아 감염 모기 방출 | 지역 내 토착 뎅기열 완전 퇴치 (2011~현재) |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 지카·뎅기열 | 볼바키아 감염 모기 방출 | 감염률 최대 75% 감소 |
인도네시아 욕야카르타 | 뎅기열 | 볼바키아 감염 모기 방출 | 감염률 77% 감소, 입원률 86% 감소 |
베트남, 콜롬비아 등 | 뎅기열 | 동일 기술 적용 중 | 현재 진행형, 중간 성과 긍정적 |
🌐 어떻게 작동하나요?
- 볼바키아(Wolbachia) 균에 감염된 수컷 모기를 방출하면,
- 수컷은 암컷과 교미하더라도 알이 부화하지 않게 됩니다.
- 암컷이 감염된 수컷과만 교미하면 점차 전체 모기 개체 수가 줄어드는 것이죠.
- 또 다른 방식은 암수 모두 볼바키아에 감염시켜 방출, 이후 감염 모기끼리만 생존하며 병원체 전파 능력이 약해지게 만듭니다.
🔬 왜 효과적인가요?
- 모기의 생태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므로, 살충제보다 환경 부담이 적고 지속적입니다.
- 바이러스가 볼바키아 감염 모기의 체내에서 증식하지 못하는 생물학적 특성을 활용합니다.
🌍 WHO(세계보건기구) 평가
- WHO는 2023년 이 방법을 "혁신적이며 안전한 뎅기열 퇴치 전략"으로 공인했고,
- **‘전 세계 보건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는 입장을 발표했습니다.
이처럼 하와이 프로젝트는 검증된 국제 사례를 바탕으로 조류 보호에 응용된 것이며, 사람과 환경 모두를 위한 친환경 방역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하와이 주정부 및 연방기관의 평가
• 하와이 내무부(DLNR) & 미국 국립공원청·어류야생동물국(USFWS)
- 2023년 10월, **Kauaʻi 섬에서 실행된 환경영향평가(Final EA)**를 승인하며, IIT(불임 모기 기술) 사용을 정식 지원 vox.comhawaiiunites.org+2fws.gov+2dlnr.hawaii.gov+2.
- 몰락 위기에 처한 꿀먹이새 보전을 위한 합법적·체계적인 장기 사업으로 평가 .
• 미국 환경보호청(EPA)
- 2년 전, 멸종 위기 조류를 보호하기 위해 불임 모기의 **긴급 면책권(emergency exemption)**을 승인 epa.gov.
• 국립공원청 및 Haleakalā NP
- 2023년 11월 말부터 시험적 방출이 시작됨.
- 프로젝트 책임자인 Chris Warren은 “실행은 조심스럽지만 지체는 더 큰 비극”이라 언급 nps.gov.
🌍 국제·비영리 단체와 학계의 시각
• Birds, Not Mosquitoes(보전 연합)
- 헬리콥터에서 드론으로 방출 방식 전환을 주도하며 안전성과 접근성을 강조 .
- “실행과 동시에 배우는 중”이라며 협력·실행 중심의 보존 전략이라는 평가 .
• 학술계 전문가
- UC Santa Cruz의 Marm Kilpatrick 교수: “이보다 나은 방안은 아직 없다”라며 과학적으로 타당한 답이라는 평가 vox.com+1pmc.ncbi.nlm.nih.gov+1.
⚖️ 법적·공공 이슈
- 환경단체 Hawai‘i Unites는 위험성에 대한 우려로 법적 대응을 시도했지만, 1심 법원은 하와이 주정부의 시행을 지지하면서 소송을 중단 mauinow.com.
- 일각에서는 항생제 내성과 벡터 전염병 면역 변화 우려를 제기했으나, 이에 대한 대응과 환경평가 절차는 이미 시행됨 .
🧩 종합 정리
- 하와이 정부(DLNR), 연방기관(EPA, USFWS, NPS) 등은 긴급 대응형 보존 프로젝트로서 높은 신뢰와 지지를 보냄.
- 보전 단체 및 전문가들은 “지금이 마지막 기회”라며 과학·안전·효과성 확보를 전제로 전면적 협력을 선언.
- 법적 도전도 있었지만, 주요 기관들은 절차적 안전성과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주도적 실행을 벌이고 있음.
모기가 고지대까지 올라오게 된 배경에는 기후 변화, 특히 지구 온난화가 핵심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 기후 변화와 모기 확산의 연관성
1. 고온 현상으로 생존지 확대
- 모기는 섭씨 10도 이상에서 활동이 가능하며, 20~30도 사이에서 번식력이 가장 활발합니다.
- 하와이 고지대는 원래 서늘하고 건조해 모기가 살기 어려운 지역이었지만,
- 기온 상승으로 인해 모기 생존이 가능한 해발고도가 점점 더 높아지고 있습니다.
2. 강수 패턴 변화
- 기후 변화로 인해 하와이 일부 지역에 비가 더 자주, 더 집중적으로 내리는 경향이 생겼습니다.
- 이는 웅덩이·고인 물 등 모기 번식지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3. 조류 말라리아도 함께 고지대로
- 조류 말라리아는 모기를 통해 전파됩니다.
- 기온 상승으로 말라리아 병원체도 고지대 환경에서 생존·복제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 결과적으로 꿀먹이새 등 고산지대에 서식하는 조류도 전염병에 노출되는 위험이 급증하게 된 것입니다.
📈 실제 사례: 하와이의 꿀먹이새
- 예전에는 해발 1,200m 이상에서만 생존 가능하던 꿀먹이새들이 그나마 안전하던 고지대에서 말라리아에 감염되는 사례가 급증했습니다.
- 2023년 기준, 일부 지역에서는 생존 개체 수가 100마리 이하로 추정되며, 완전 멸종 위기에 있습니다.
🧬 학계의 분석
- 하와이대학교, UC 버클리 등의 연구에 따르면, 평균기온이 1도 상승할 때마다 모기의 고도 서식 가능 범위가 150m 이상 확대된다고 합니다.
- 이는 생태계에 **계단식 붕괴(Rolling collapse)**를 유도할 수 있는 심각한 위협으로 간주됩니다.
🔁 한 줄 정리
기후 변화는 고지대 생태계의 ‘최후의 피난처’마저 모기와 병원체로부터 안전하지 않게 만들고 있으며, 이는 생물다양성 보전에 있어 새로운 전선이 열린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728x90
'일반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진에어가 제안하는 '항공 여행 꿀팁' 5가지 (0) | 2025.06.30 |
---|---|
📚 조선이 버린 천재 남매-허균과 허난설을 조명해보자 (2) | 2025.06.11 |
🧠 꿈 기억하려면 잠자기 전 물 마셔라? (0) | 2025.06.07 |
📚 세종대왕 나신 날과 스승의 날의 의미를 아시나요? (0) | 2025.05.15 |
🎯 모든소리에 동공이 확장된다는건 (0) | 2025.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