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생도(부산)에서 40~60 cm급 참돔의 입질 특징과 낚시 패턴, 채비 추천 😊

🎣 1. 최근 조황: 입질 상황 요약
- 생도 남동쪽 높은여·여밭 포인트에서 40~60 cm 참돔이 마릿수로 출현했으며, 전갱이·돌돔 등 다양한 어종이 함께 올라왔다는 조황이 있습니다 youtube.com+8v.daum.net+8mw.klfishing.com+8.
- 장마철이라 수심 15m 내외, 조류가 빠른 암초·여밭 지대에서 입질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mw.klfishing.com+2v.daum.net+2lostmandoo.tistory.com+2.
🐟 2. 입질 패턴
- 감각적 입질: 참돔은 바닥 가까이에서 갑작스러운 흡입형 입질 또는 찰진 ‘쿵’ 소리를 동반한 묵직한 입질을 보입니다.
- 타이라바와 메탈지그 등 루어 채비로는 바닥 채층에서 천천히 감아 올릴 때 입질이 자주 옵니다 youtube.com+10lostmandoo.tistory.com+10mw.klfishing.com+10.
- 특히 흘림(드리프트) 낚시 기법으로 조류에 채비를 맡기고 입질 받는 방식이 유효하며, 챔질 타이밍은 ‘묵직해지기 직전’이 핵심이에요 youtube.com+1lostmandoo.tistory.com+1.
⚙️ 3. 채비 및 장비 추천
요소추천 사양설명
로드(낚싯대) | 1.0~1.5호 | 40~60 cm급은 1호대도 가능하지만, 강한 입질 대응 위해 1.5호대 선호 youtube.com+10mw.klfishing.com+10fishingseasons.co.kr+10 |
릴 | 4000~5000번 드랙릴 | 파워풀한 질주 대응에 유리하며, 장거리 채비 흘림에 적합 |
라인 | PE 1.5 |
바닥 여밭 지형에서 유리하며, 대물에도 대비 가능 |
채비 | 타이라바 / 메탈지그 / 반유동·전유동 | 타이라바로 바닥층 탐색, 빠른 조류엔 반유동, 느린 조류엔 전유동 추천 |
미끼 | 자연미끼(새우, 갯지렁이) | 입질 확률을 더 높여 줍니다 |
🕰️ 4. 입질 시기 & 전술
- 활발한 시간대: 일출 전·후, 일몰 전후가 가장 입질이 좋은 시간.
- 장마철 조류: 장마 전후로 조류가 강해지면 생도권 입질이 더 잘 붙는 경향이 있습니다 lostmandoo.tistory.com.
- 흘림낚시 전략: 채비를 흘려 보내고, 입질이 오면 곧바로 챔질하기 보다는 “묵직 해질 때” 찰지게 챔질해야 확실한 바이트를 잡을 수 있습니다 mw.klfishing.com+2youtube.com+2lostmandoo.tistory.com+2.
▶️ 참고 영상
생도 선상낚시에서의 실전 입질과 챔질 타이밍을 영상으로 보시면 이해에 도움이 됩니다:
✅ 결론
- 조류가 빠르고 수심 10~20m 여밭·암초 지대를 공략
- 타이라바·메탈지그로 바닥층 천천히 탐색하며 흘림 스타일
- 묵직한 입질 순간에 챔질 타이밍 잡기
- 1~1.5호대 중간 강도 채비 + 드랙릴 + 자연미끼 조합 추천
🪨 갯바위 참돔 낚시 핵심 전략
🎯 1. 공략 포인트 선정
- 여밭, 곶부리, 수심 급변 지대 중심
- 썰물 때 조류가 빠르게 형성되는 곳이 입질 확률 높음
- 밤낚시에 입질 집중되며, 새벽·일몰 무렵도 좋음
🎣 2. 채비 구성
항목내용
로드(낚싯대) | 1.25~1.5호 갯바위 릴대 (4.5m 이상) |
릴 | 2500~4000번 드랙릴 |
원줄 | 나일론 2.5 |
쇼크리더 | 플루오로카본 3~4호 (여밭 긁힘 대비) |
채비 방식 | 전유동채비 + 수중찌 또는 반유동채비 |
찌 선택 | 0.8~1.5호 정도로 바닥층 접근 쉽게 |
미끼 | 크릴, 갯지렁이, 참갯고둥 (여름엔 생새우 미끼도 효과적) |
⚙️ 3. 운영 요령
💡 포인트 유지와 조류 읽기
- 조류가 앞으로 쏠리는 방향에서 수면을 끊고 내려가는 형태의 찌 움직임을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 채비가 바닥까지 닿도록 천천히 유도하되, 너무 빨리 가라앉으면 찌 조절 필요!
💡 입질 패턴
- 참돔은 입질 후 미끼를 삼키는 데 시간이 걸리는 편이라, 챔질은 ‘찌가 천천히 가라앉다 멈추거나’ ‘급하게 빨려들어갈 때’ 시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 챔질 타이밍은 “묵직해질 때”, 선상과 유사합니다.
📌 계절별 특이점
- 봄·초여름: 산란기여서 갯바위 접근이 많음, 마릿수 기대 가능
- 가을: 수온 안정되며 큰 씨알 올라올 확률 ↑
- 겨울: 깊은 수심 필요, 채비 더 섬세하게 구성해야 효과 있음
✅ 갯바위 채비 요약 팁
- 전유동채비 + 수중찌 조합으로 바닥층 노리기
- 찌 가라앉는 속도와 조류에 따라 수심·수중찌 무게 조절
- 가장 중요한 건 포인트 선정 → 여밭 or 조류 충돌 지점
후속 추천 질문
- [1] 갯바위 낚시용 전유동채비 만드는 법 자세히 알려줘
- [2] 참돔 낚시에 좋은 갯바위 포인트 지역 추천해줘
- [3] 참돔 말고 갯바위에서 잘 잡히는 어종은 뭐가 있나요?
숫자 1, 2, 3 중 하나를 입력하거나, 계속해서 대화하세요!
장마철에 입질이 잘 오는 미끼 종류 더 궁금해요
장마철은 수온, 염도, 조류 모두가 변화하는 시기입니다. 이때는 참돔을 비롯한 어종들이 더 예민해지거나, 반대로 활발히 먹이활동을 하기도 해요. 따라서 미끼 선택이 특히 중요합니다.
🌧️ 장마철 입질 잘 받는 대표 미끼
🦐 1. 생새우 (활새우, 죽은 새우 모두 가능)
- 장마철 최고의 만능 미끼로 꼽힙니다.
- 특히 참돔, 돌돔, 농어 등에 탁월한 반응
- 새우껍질을 벗기지 않고 통째로 사용하면 시각적으로 어필 가능
- 살아있는 새우(활새우)는 선상낚시에서 더욱 효과적
🪱 2. 갯지렁이류 (혼무늬, 청지렁이)
- 비 오는 날이나 탁한 물에서도 향으로 유인력↑
- 참돔 외에도 감성돔, 볼락, 학꽁치 등 다어종 대응 가능
- 장마철엔 찌낚시나 원투낚시에서 최적
🦪 3. 참갯고둥 / 조개류
- 바닥층 공략용으로 좋고, 참돔의 바닥 입질에 강력 대응
- 여밭, 암초지대에서 천천히 씹어 먹기 때문에 바늘에 오래 남음
🍤 그 외 유용한 미끼
미끼특징추천 상황
크릴 | 저렴하고 사용 편함 | 조류 빠르지 않을 때 효과적 |
오징어살 | 탁한 물에서 유인력 강함 | 야간 낚시 / 큰 씨알 노릴 때 |
멸치 / 청어살 | 기름기 많아 대형 어종 유인 | 선상낚시, 흘림낚시 |
게미끼 | 천천히 침강 → 참돔·돌돔에 적합 | 여밭, 조류 약한 구간 |
⚠️ 장마철 미끼 사용 팁
- 물색이 탁할수록 향 강한 미끼 (갯지렁이, 조개류 등)을 우선 고려
- 조류 빠를 땐 크릴보다 무게 있는 미끼가 유리
- 여밭·바닥층 노릴 때는 껍질이 단단한 미끼로 오래 버티게
- 이중 미끼 조합 (예: 새우+크릴) 도 효과 좋음
✅ 결론
- 장마철엔 생새우, 갯지렁이, 참갯고둥 3종 미끼가 특히 효과적
- 수온 변화와 탁한 물색을 고려해 미끼의 향, 침강 속도, 시각적 효과를 조절해야 입질 확률이 올라갑니다.
🌊 지역별 참돔 시즌 개요
1. 남해·제주 일대
- 산란기: 수온 17
21℃에 해당하는 4월7월 주로 활동성 증가 afishing.com+12fishingseasons.co.kr+12youtube.com+12 - 시즌 피크:
- 4월 말부터 6월 초: 80~90cm급 대형 참돔 출현율 최고 llkjh112.tistory.com+3fishingseasons.co.kr+3brunch.co.kr+3
- 9~11월: 마릿수 회귀 및 대물 재등장 afishing.com+11klfishing.com+11toshore.tistory.com+11
- 겨울(1~2월): 추자도·거문도 등 원도권에서는 포말한 조황 가능 afishing.com+3klfishing.com+3fishingseasons.co.kr+3
2. 서해(격포·군산·보령 등)
- 시즌 구간:
- 봄: 5월 중순부터 시작하여
- 가을: 11월 중순까지 이어짐 (겨울 12~4월은 공백기) youtube.com+3klfishing.com+3bbs.dinak.co.kr+3
- 채비 스타일: 주로 선상찌낚시 중심이며, 원도권 이상 깊은 바다에서 대물 조황 가능 llkjh112.tistory.com+9bbs.dinak.co.kr+9klfishing.com+9
3. 동해 남부권
- 시즌 타이밍:
- 선상 찌낚시 중심으로
- 5월 말~9월 말 사이 입질이 활발 toshore.tistory.com+1klfishing.com+1bbs.dinak.co.kr+1brunch.co.kr+1
- 포인트는 동해 남부권 암초대, 여밭 위주
📅 요약 표
지역시즌 시작대물 피크마릿수 시기비수기
남해·제주·원도 | 3~4월 | 4~6월 | 9~11월, 원도 겨울 | 따로 없음 |
서해(중부) | 5월 중순 | 6월 초 | 9~11월 | 12~4월 |
동해 남부 | 5월 말 | 7~8월 | 9월 초~9월 말 | 10월 이후~이듬해봄 |
🎣 팁 및 전략
- 대형 참돔 노리고 싶다면 산란 시즌인 4~6월, 특히 5월이 최적입니다.
- **가성비(갯수)**와 방어력 모두 중요하다면, 9~11월 시즌도 좋은 선택입니다.
- 겨울 낚시에 대한 도전? 원도(거문도·추자도)에서는 드물게 가능하지만, 채비와 안전 대비 철저히!
728x90
'취미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멸종위기 야생동물 4종 기념우표 54만장 발행 (0) | 2025.07.02 |
---|---|
🎣 단양강 전국 스포츠 피싱대회 내달 5일 개막 (0) | 2025.06.26 |
🐶 신개념 체험 ‘멍하니 걷개’-소개 (1) | 2025.06.18 |
🗣️ 바다낚시-면허 따야 낚시하나...? (0) | 2025.06.13 |
🎣 여수- 초도에 30㎝급 붉바리 ‘입질대박! (0) | 2025.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