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경제

💡 속초시,체류형 관광 콘텐츠 성공

꿈나래- 2025. 6. 12. 21:10
728x90
 

✅ 주요 성과 요약


📌 성공 요인 분석

  1. 체류형 콘텐츠 강화
  2. 휴양·문화 결합
  3. 빅데이터·민관 협업 활용

🌱 앞으로의 과제


🧭 결론

속초시는 체류형 콘텐츠 중심의 관광 전략을 통해 관광객 유입·소비지출·노출도 측면에서 눈에 띄는 성과를 냈습니다.
향후 야간관광 강화, 설악권 인프라 재생, 민관 협업 확대를 통해 지속가능한 관광 발전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 핵심 과제로 보입니다.


 
 
 

속초시가 최근 야간 관광 콘텐츠 개발로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주요 사례는 ‘빛의 바다, Sokcho(속초)’라는 미디어아트 프로그램입니다.


💡 ‘빛의 바다, Sokcho’ 미디어아트

운영 개요

운영시간

시즌요일시간
동절기 (10월~4월) 금·토 18:00–20:00, 매 1시 정각 30분씩 2회 v.daum.net+4khan.co.kr+4tournews21.com+4
하절기 (5월~9월) 금·토 20:00–22:00, 동일 운영 방식
 

효과 및 반응


🌙 야간경관 조성 & 체류형 관광 연계


✅ 정리 분석

  • 미디어아트 중심 야간 콘텐츠로 관광객의 시선과 시간을 잡아당김
  • 주말 한정 프로그램으로 희소성 부각
  • 빅데이터 기반 전략 계획민·관 연계 실행력이 성공 요인
  • 지속 확장 계획: 여름철 확대 운영, 야간 교통·안전·편의 개선도 병행

야간 콘텐츠 확대는 단순한 관광 시간을 늘리는 것을 넘어, 야간경제 활성화체류형 관광 도시 이미지 확립에도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야간 체류 관광을 더욱 풍성하게 하기 위해 야간 수상 공연, 야간 워터 페스티벌, 시내 복합문화광장 조성 등 추가 콘텐츠 개발도 검토 중입니다 youtube.com+15ajunews.com+15instagram.com+15kwnews.co.kr.


💡 설악동 재건 사업의 구체적 추진 계획

 

🛠️ 사업 개요 및 배경

  • 총사업비: 264억 원 확보 (2020년)
  • 대상 구역: 설악동 B·C 지구 일대
  • 사업 착수 시점: 2022년 실시설계 완료 → 2023년 본격 추진
  • 목표: 침체된 설악동 지역경제 활성화 및 관광 인프라 개선 sinhannews.com+9fntoday.co.kr+9e-newsp.com+9

📍 주요 추진 내용 및 일정

1. 스카이워크 및 출렁다리 설치

2. 순환형 산책로 조성

3. 소공원 및 야외무대 조성

4. 문화시설 리모델링


➕ 연계 교통·탐방 인프라 개선

  • 소공원 진입도로 확장: 현재 폭 8m → 12m로 확장, 총 연장 1.6km
  • 신규 탐방로 조성: 파크호텔 인근 경계부터 소공원까지 1.3km 구간
    • 보행자 안전 강화와 신규 관광 명소 조성 nongmin.com

📅 추진 일정 요약

단계기간주요 내용
실시설계 2022년 완료 주민 의견 수렴 및 최종 설계 확정 news.kbs.co.kr
공사 착수 2023년 상반기 스카이워크, 산책로, 소공원 등 공사 시작
소공원 준공 2024년 7월 천연잔디·야외무대 설치 완료
리모델링 착수 2024년 하반기 홍삼체험관 등 문화시설 공사 착공
최종 완료 2025년 리모델링 포함 모든 사업 마무리 목표
연계사업 2025년 중 진입도로·탐방로 확장 완료
 

💡 기대 효과

  • 설악동을 내륙 체류형 관광지로 전환
  • 지역경제 활성화 및 관광객 체류 시간 연장
  • 교통·탐방 환경 개선으로 접근성 및 안전성 강화
  • 문화공간 마련으로 주민 및 관광객 대상 다채로운 활용 가능

✅ 결론

설악동 재건사업은 스카이워크, 출렁다리, 문화공간, 탐방 인프라 확충을 중심으로 2025년 내 완공을 목표로 추진 중입니다. 이를 통해 설악동이 설악산관문이자 체류형 관광 핵심 거점으로 거듭나도록 기반을 조성하고 있습니다.


🏙️ 국내 체류형 관광 우수 도시 비교

1. 철원군

2. 강릉시

3. 제천시

4. 정읍시

  • 토탈관광 전략 추진: 문화·체육·휴식 시설을 연계해 체류형 관광거점 조성 chookjenews.kr.

5. 진천군

6. 안동시

7. 인천광역시


📊 비교표

도시핵심 전략특징 및 성과
속초 미디어아트, 야간관광 강화 1분기 관광객 549만↑, 소비 380억↑ hidomin.com+7nocutnews.co.kr+7e-newsp.com+7
철원 야간 LED 미디어아트, 안전 연계 특색 있는 콘텐츠로 체류형 전환 시도
강릉 철도 관광 유입, 대중교통 개선模索 영남권 유입 확대 중
제천 자연·문화 체류형 관광지 육성 1,000만 관광객, 관광 100선 2회
정읍 토탈관광 (문화·체육·휴식) 거점화 복합관광 콘텐츠 개발
진천 출렁다리, 야간 조명 관광 추진 170만 관광객 유도 중
안동 도시재생 벤치마킹 통한 콘텐츠 기획 폐선 활용, 축제 활성화 추진
인천 웰니스·힐링 관광 인증 확대 2025년 2곳 신규 인증, 총 8개소
 

🌟 주요 시사점

  1. 미디어아트·야간경관을 활용한 체류형 콘텐츠는 철원, 속초에서 높은 효과를 보고 있습니다.
  2. 교통 인프라 개선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체류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으며, 강릉 등의 도시에서 이 부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3. 자연 + 문화 + 체험의 융합 콘텐츠가 제천·정읍·진천 등 중소도시에서 체류형 관광 성공의 핵심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4. 웰니스 관광이 주목받으며, 인천은 이미 인증을 통해 힐링 관광 브랜드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5. 도시재생과 벤치마킹은 안동에서 보듯, 지속 가능한 체류형 관광으로 전환하는 데 중요한 전략입니다.

✅ 결론

속초는 미디어아트 기반 야간관광 전략으로 체류형 관광의 대표 사례로 떠올랐습니다.
다른 도시들도 야간 콘텐츠, 자연·문화 융합, 교통 및 도시재생 연계 전략을 통해 각자의 강점을 살린 체류형 관광 모델을 개발 중입니다.
속초는 향후 웰니스, 교통 연계성 강화, 도시재생 콘텐츠 접목 등을 통해 더욱 경쟁력 있는 체류형 관광 도시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728x90